“이유없이 괴롭힘 당하거나 무시 당할때 이렇게 하세요” 자신을 만만하게 취급하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사라지게 하는 방법

주변에 당신을 힘들게 하는 사람이 있으신가요. 누군가 당신을 힘들게 한다고 느껴진다면 우선 이 사람이 나를 괴롭힐 의도로 그런 것인지, 자신도 모르게 저지른 실수나 잘못 때문에 화가 나서 나를 싫어하는 것인지를 먼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혹시 제가 당신에게 어떤 잘못이나 실수를 한 적이 있습니까?” 이렇게 물어보았을 때 이에 대해 제대로 된 대답을 하지 못한다면 그 사람은 그냥 당신이 아무 이유없이 싫고 괴롭히고 싶어서 그럴 확률이 큽니다.

다른 한 사례가 있습니다. 누군가 당신의 소중한 시간까지 빼았아가며 힘든일, 남 험담 등 불평불만을 털어놓을 때 당신이 책임감을 느끼고 끝까지 그 사람의 말을 경청하고 달래주신 적 있으신가요.

당신의 상황을 무시한 채 자신의 하소연만 늘어놓는 사람은 당신을 마치 감정 쓰레기통으로 취급하며 자신의 스트레스를 푸는 도구로 당신을 활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형은 다양하지만 이렇게 무시 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할 때 최고의 해결 방법은 그 사람이 당신을 힘들게 하는 행동을 했을 때 최대한 반응해 주지 않는 것입니다.

인간의 행동 양상은 반응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매우 큽니다. 내가 기분 나빠 하거나 힘들어 하는 티를 낸다면 괴롭히고 싶어하는 의도를 가진 상대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이기 때문에 그 뒤로 당신을 괴롭히는 행동을 더 심하게 하려고 할 것입니다.

정신과 전문의 니시와키 슌지는 그의 저서에서 마트에서 떼를 쓰며 소란을 피우는 아이의 예시를 들었습니다. 아이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마트에서 소란을 피우면 부모들은 주변의 시선때문에 아이에게 물건을 사주게 되는데 이러한 행동이 학습이 되면 아이는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할때 마다 떼쓰는 행동을 더욱 심하게 한다는 것이죠.

이러한 심리 법칙은 성인이 되어서도 변하지 않습니다. 아이처럼 대놓고 드러내지 않을 뿐입니다. 어떤 행동을 했을 대 상대방이 자신이 원하는 것과 들어 맞는 행동을 하게 되면 그 행동을 더 하게 되는 것이죠.

누군가를 힘들게 만드는 사람의 심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당신을 계속 힘들게 만들었던 사람을 한번 떠올려 보세요.

그 사람은 어떤 행동으로 당신을 힘들게 만들고 그 행동에 대해 당신은 어떤 반응을 보여 왔나요. 누군가 당신에게 별 이유없이 화를 내고 짜증을 낼 때 당신이 슬퍼하는 모습을 보이고 그러지 말아달라고 애원했다면 그 사람은 당신에게서 자신의 공격성 욕구를 충족시켰을 것입니다.

공격성 욕구는 누구에게나 있는 것으로 게임이나 운동 등 바람직한 방식으로 해결해야 되는 것이지만 이것이 사람에게 향하게 되었을 때는 문제가 되는 것이죠.

바로 상대방이 원하던 반응을 갑자기 하지 않게 되었을 때 초반에는 상대방이 더 난리를 피우거나 당신을 비난할 것입니다.

만약 동전만 넣으면 잘 나오던 음료수 자판기가 어느 순간 음료수를 내 놓지 않으면 매일 자신이 좋아하던 음료수를 먹을 수 없게 된 그사람은 화를 내고 자판기 회사에 컴플레인도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게 되면 얼마가지 않아 스스로 지치게 되고 자판기에 관심을 두지 않게 될 것입니다.

초반에는 이렇게 반응을 해주지 않는 것이 힘들 수 있습니다. 그럴때는 다음의 두가지 방법을 활용해 보세요.

‘나를 힘들게 만드는 상대에게 반응하지 않는 것’을 더 쉽게 하는 방법입니다.

첫번째는 바로 내 잘못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면 상대방의 감정에 책임감을 갖지 말라는 것입니다. 상대방의 감정을 온전히 상대방의 것입니다. 내가 책임질 필요도 없고 책임질 수도 없습니다.

두번째는 바로 반응을 아예 하지 않는게 힘들다면 ‘그랬구나 그랬겠구나’ 정도로 짧게 대화가 금방 끊어지는 방식으로 반응하고 그 자리를 피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이야기 한 당신의 반응을 고쳐야 된다는 이 방법이 혹시 당신에게 문제가 있다고 여겨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그저 당신이 상대의 행동을 컨트롤할 수 없으니 당신의 반응을 컨트롤해서 상대방의 행동을 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일 뿐입니다.

물론 당신을 괴롭게 하는 모든 것이 상대방의 문제라고 여기는 것도 옳지 않습니다. 나와 상대의 상황 모두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건강한 관계에 가장 기본적인 조건일 것입니다.

상대와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더욱 정확하게 진단을 내리고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